전공노트📖/전기치료학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① – 의용전류란? 전류의 종류와 임상적 특징까지 깊이 있게 정리
PT Nomade
2025. 4. 7. 19:01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① – 의용전류란? 전류의 종류와 임상적 특징까지 깊이 있게 정리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 왜 '의용전류'부터 공부해야 할까?
전기치료학을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게 전류의 종류예요.
왜냐하면, 자극기에서 나오는 전류의 종류에 따라
- 자극 느낌이 다르고
- 작용 방식도 다르고
- 치료 목적도 달라지기 때문이죠.
1. 의용전류란?
치료 목적으로 인체에 전달하는 전류
의용전류는 전기자극치료기에서 발생하는 출력 전류로,
흐름의 방향, 형태, 작용 시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뉘어요.
2. 의용전류의 분류
① 직류 전류 (Direct Current, DC)
- 정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1초 이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
- 기타 명칭: 평류전류, 연속전류, 갈바니전류
- 화학적 작용: ✅ 있음 (전극 아래 잔류 전하 발생)
구분 | 설명 |
---|---|
정의 |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1초 이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 |
기타 명칭 | 평류전류, 연속전류, 갈바니전류 |
화학적 작용 | 전극 아래 잔류 전하 생성 → 화학작용 발생 |
유형 |
|
임상 적용 |
|
📌 임상 적용 예
- 이온도입법 (iontophoresis): 약물을 전하 이용해 피부로 흡수시킴
- 탈신경근 치료: 전류를 일정 시간 통전시켜 비정상 근육에 자극 전달
- 전기진단: 반응성 신경/근육 테스트
② 교류 전류 (Alternating Current, AC)
- 정의: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
- 화학적 작용: ❌ 없음 (전하 축적이 없기 때문)
구분 | 설명 |
---|---|
정의 |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 |
화학적 작용 | 없음 (전하 축적이 없어 화학반응 발생 X) |
파형 분류 |
|
변조 유형 |
|
임상 적용 |
|
📌 임상 적용 예
- 간섭전류치료기: 깊은 조직까지 자극
- 러시안전류: 고주파 + 시간변조 → 근수축 유도
- 감응전류 자극기: 대칭/비대칭 교류 선택 가능
③ 맥동 전류 (Pulsed Current)
전류가 끊어지며 주기적으로 흘러 나오는 형태
- 각 맥동은 수 μs~ms의 짧은 시간 지속됨
- 맥동은 단상, 이상, 다상으로 구성됨
구분 | 설명 |
---|---|
정의 | 전류가 끊어지며 주기적으로 흐르는 형태의 전류 (pulse 단위로 작용) |
특징 | 각 맥동은 매우 짧은 시간(μs~ms) 동안 작용하며, 다양한 파형으로 구성됨 |
파형 유형 |
|
생리적 반응 | 파형, 진폭, 주파수에 따라 신경·근육 자극, 통증 완화 등 다양한 반응 유도 |
임상 적용 |
|
📌 맥동전류는 자극기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형태
→ TENS, NMES, 고전압치료기(HVPC) 등
3. 핵심 비교 요약표
항목 | 직류 전류 (DC) | 교류 전류 (AC) | 맥동 전류 (Pulsed) |
---|---|---|---|
방향 | 일정한 방향 | 양방향 반복 | 단속적으로 한 방향 또는 양방향 |
흐름 시간 | 1초 이상 지속 | 연속적 주기적 변화 | 짧은 시간 동안 반복 |
화학적 작용 | 있음 (잔류 전하 발생) | 없음 | 파형에 따라 다름 |
임상 적용 | 이온도입, 탈신경근 치료, 전기진단 | 간섭전류, 러시안전류, 감응전류 | TENS, NMES, 고전압자극 등 |
자극 느낌 | 강하고 따가운 느낌 | 부드럽고 일정함 | 찌릿찌릿한 자극 |

💡 마무리 요약
- 전기치료기에서 어떤 전류가 쓰이냐에 따라 자극감, 효과, 깊이, 작용 방식이 완전히 달라져요.
- 전류 형태의 기본만 알아도 자극기 세팅이 두려워지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