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트📖/피부물리치료학
🌿 림프부종 완전 정복 – 림프란? 왜 붓고, 어떻게 구분할까?
PT Nomade
2025. 4. 10. 20:12
🌿 림프부종 완전 정복 – 림프란? 왜 붓고, 어떻게 구분할까?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 림프란 무엇인가요?
우리 몸엔 혈액(blood)만 도는 게 아니에요!
림프(lymph)라는 또 하나의 체액도 있어서 면역을 지키고 노폐물을 수거하는 일을 해요.
림프의 역할 | 설명 |
---|---|
면역 기능 | 림프 속에 있는 백혈구(림프구)가 세균과 싸워요. |
노폐물 수거 | 세포 사이에 남은 노폐물을 모아서 걸러줘요. |
체액 균형 유지 | 우리 몸속 수분이 너무 많거나 적지 않게 도와줘요. |

🧠 림프의 순환경로
림프는 아래의 길을 따라 이동해요:
모세 림프관 → 림프관 → 림프절 → 림프 줄기 → 림프 덕트(가슴관) → 정맥계
- 모세 림프관: 아주 가늘고 작지만 큰 입자까지도 통과 가능해요!
- 림프절(lymph node): 필터 역할을 하는 콩 모양 구조. 백혈구가 많아요.
- 가슴관(thoracic duct): 림프관 중 가장 굵고, 마지막에 혈관과 만나요.
- 조직 속의 노폐물을 수거해 림프절을 지나며 걸러짐
🧬 림프 해부학 – 몸속 숨겨진 ‘배수관 시스템’
🔹 얕은 림프계 & 깊은 림프계
구분 | 설명 |
---|---|
얕은 림프계 | 피부와 피하조직에 위치하며, 정맥과 나란히 주행하고 조직액을 흡수해요. |
깊은 림프계 | 근육, 관절, 장기 주변에 깊숙이 위치하고 몸속 깊은 조직의 림프를 수거해요. |
👉 이 둘은 관통 림프관(perforating vessels)으로 연결돼 있어요.
🔹 림프관 구조 – 순서대로 쭉쭉 이어져요!
① 모세 림프관 (Lymph capillaries)
- 림프의 출발점이에요.
- 그물처럼 퍼져 있고, 투과성이 아주 높아요 → 단백질, 세균까지 흡수!
② 전수집 림프관 (Pre-collectors)
- 모세 림프관보다 굵어요.
- 림프 흐름을 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판막(valve)이 있고, 근육 움직임에 따라 작용해요.
③ 수집 림프관 (Collectors)
- 정맥과 비슷하게 3겹 구조 (내막, 중막, 외막)
- 내부에는 판막이 반복적으로 존재 → ‘림프 엔지온(lymphangion)’이라는 구획 형성
- 수축/이완하며 림프를 앞으로 밀어요
🔹 림프절 (Lymph node) – 림프의 ‘정수기’
- 콩처럼 생긴 작은 기관!
- 림프가 지나가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
- 백혈구가 가득 → 감염 방어
- 몸에 600~700개,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에 많아요
🔹 가슴관 (Thoracic duct) – 림프계의 ‘고속도로’
- 몸 전체 림프 중 대부분이 지나가는 가장 큰 림프관
- 왼쪽 빗장 정맥과 만나 혈액 순환으로 돌아가요
- 대동맥과 나란히 달리는 것도 특징!
🔹 림프 영역 (Lymphotome)
- 같은 림프절로 모이는 피부 구역
- 경계를 넘어 흐르지 않아요 → 중재 시 정확한 방향 이해가 중요!
💨 림프 생리학 – 림프는 어떻게 움직일까요?
림프는 심장이 없어서 스스로 흐르지 못해요. 대신 아래 4가지 힘 덕분에 움직여요!
림프 추진력 | 설명 |
---|---|
뼈대근육 수축 | 뼈대 근육이 움직이면 림프관이 눌려 림프가 한 방향으로 이동해요. |
호흡 펌프 | 깊게 숨 쉴 때 생기는 압력 변화가 림프 흐름을 위로 끌어올려요. |
대동맥 맥박 | 심장 근처 대동맥이 뛸 때 림프관이 자극되어 림프 이동을 도와요. |
장의 연동 운동 | 소화기관이 움직이며 복부 림프관과 림프절을 자극해요. |

⚠️ 림프부종이란?
림프가 고여서 생기는 부종(붓기)이에요.
마치 하수도 막힌 것처럼 림프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몸속에 쌓이면서 생겨요.
🧨 원인은요?
분류 | 원인 |
---|---|
1차 림프부종 | 선천적으로 림프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 림프관 형성 부족, 기형, 림프절 섬유화) 전체 림프부종의 약 1% 정도로 드물어요. |
2차 림프부종 | 외부 요인으로 림프계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경우 (예: 수술, 림프절 절제, 방사선 치료, 감염, 비만 등) 전체 림프부종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
💡 위험 요인: 수술 후 시간 경과, 체중 증가, 감염, 비행기 여행(기압 변화), 흉터 등
👀 임상 양상 (환자가 느끼는 증상들)
- 팔/다리가 무겁고 당겨요
- 반지나 신발이 조여요
- 피부에서 림프액이 새거나 진물이 나요
- 피부가 딱딱해지고 붉어져요
- 오래 서 있으면 더 심해지고, 자고 나면 조금 좋아져요
📌 검사 방법
- 스테머 징후 검사: 손가락으로 발등 피부를 잡을 수 없다면 양성
- 둘레 측정: 건측과 비교하여 붓기 정도 확인
🧩 림프부종의 분류 (단계별 정리)
단계 | 특징 |
---|---|
0단계 (잠복기) | 림프 수송 능력은 감소했지만 눈에 보이는 부종은 없음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후 초기, 몸이 무겁게 느껴질 수 있음 |
1단계 (가역성 부종) | 오목 부종(pitting edema)이 나타남 거상하거나 휴식 후에 부종이 줄어듦 피부 변화는 없음 |
2단계 (비가역성 부종) | 비오목 부종(non-pitting edema), 피부가 딱딱해짐 거상해도 부종이 줄지 않음, 섬유화 시작 감염 위험 ↑ |
3단계 (림프 정체증) | 피부가 코끼리처럼 두꺼워짐 (elephantiasis) 유두종, 피부 변형, 깊은 주름 발생 감염 및 합병증 위험 매우 높음 |
📏 중증도 분류 (부피 & 둘레 차이)
등급 | 둘레 차이 | 부피 차이 |
---|---|---|
경증 | 3cm 미만 | 20% 미만 |
중등도 | 3~5cm | 20~40% |
중증 | 5cm 이상 | 40% 이상 |
🧼 요약 정리
림프는 몸속 ‘청소와 면역’을 담당하는 체액이고,
림프가 잘 흐르지 않으면 부종이 생기고, 감염도 잘 생겨요.
적절한 운동, 자세, 압박 관리로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어요.
단계별 분류와 위험 요인을 잘 이해하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