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트📖/신경해부생리학

🧠 대뇌 시리즈 ② – 대뇌겉질의 기능영역: 운동 · 감각 중심 정리

PT Nomade 2025. 4. 14. 17:42

🧠 대뇌 시리즈 ② – 대뇌겉질의 기능영역: 운동 · 감각 중심 정리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 0. 대뇌겉질(Cerebral Cortex) 개요 – 기능영역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대뇌겉질(Cerebral cortex)은 대뇌반구의 겉면을 덮고 있는 회색질(gray matter)입니다.
우리가 말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움직이는 모든 고차원적인 기능은 이 겉질에서 시작됩니다.

- 대뇌에서 가장 겉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

📌 기본 정보 요약

항목 내용
위치 대뇌반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회색질 층
두께 평균 1.5 ~ 4mm
표면적 약 2,500㎠ (주름 구조 덕분에 확대됨)
신경세포 수 약 140억 개 이상
구조 대부분 6층 세포층 구조로 구성되며, 영역에 따라 기능 차이 발생

🧬 대뇌겉질의 진화적 구분

구분 설명
새겉질 (Neocortex) 인간 대뇌겉질의 약 90% 차지. 감각·운동·언어·고등인지 등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며 대부분 6층 구조로 이루어짐
부등겉질 (Allocortex) 진화적으로 오래된 구조로 감정, 기억, 후각 등에 관여. 해마, 후각겉질 등이 포함되며 구조는 3층으로 단순함
층 구조 차이 새겉질은 6층, 부등겉질은 3층으로 이루어짐. 기능 복잡도에 따라 층 수와 세포 다양성이 달라짐

🧪 대뇌겉질의 층 구조 (Layer structure of Neocortex)

주요 세포 기능
Ⅰ층 – 분자층
(Molecular layer)
카잘의 수평세포 (Cajal-Retzius cell) 상위층의 축삭과 가지돌기가 만나는 시냅스 통합 영역
Ⅱ층 – 바깥과립층
(External granular layer)
별모양세포, 소형 피라미드세포 피질 내 수평 연결 및 인접 영역 간 정보 전달
Ⅲ층 – 바깥피라미드층
(External pyramidal layer)
중형 피라미드세포, 과립세포, 소수의 마르티노티세포 같은 반구 내 연합섬유 형성 (association fibers)
Ⅳ층 – 속과립층
(Internal granular layer)
별모양세포 시상에서 감각 정보를 수용하는 주요 층
Ⅴ층 – 속피라미드층
(Internal pyramidal layer)
대형 피라미드세포 (Betz cells), 별모양세포, 마리티노티세포 운동 신호 시작. 척수·뇌간 등 하위 구조로 투사
Ⅵ층 – 뭇모양층
(Multiform layer)
방추세포 시상과의 피질-시상 피드백 회로 형성

💡 감각영역은 Ⅳ층이, 운동영역은 Ⅴ층이 특히 발달되어 있음


🧠 주요 신경세포 구성

세포 유형 설명
피라미드세포
(Pyramidal cell)
대뇌겉질에서 가장 흔한 흥분성 신경세포. 삼각형 모양이며, 운동 신호 전달에 핵심 역할을 하며 Ⅴ층에 주로 분포
별세포
(Stellate cell)
짧고 다방향성 가지돌기를 가진 작은 신경세포. 감각 정보의 수용과 국소 회로 조절에 관여하며 주로 Ⅳ층에 위치
방추세포
(Fusiform cell)
변형된 피라미드세포, 가늘고 길쭉한 형태. 주로 Ⅵ층에 위치하며 시상과의 상호 연결(피질-시상 회로)을 담당
마르티노티세포
(Martinotti cell)
작은 억제성 신경세포. 여러 층에 분포하며, 피라미드세포의 가지돌기에 억제 신호 전달. 상승성 축삭이 Ⅰ층으로 투사. 오름축삭을 가짐
카잘의 수평세포
(Cajal-Retzius cell)
Ⅰ층(분자층)에 존재하는 수평 방향의 신경세포. 겉질 형성과 시냅스 연결을 조절. 태아기의 겉질 발달에 매우 중요

🧭 1. 기능 영역의 큰 틀: 주영역 vs 연합영역

구분 설명
주영역
(Primary area)
감각 자극이나 운동 명령의 **최초 수용 및 전달**을 담당하는 핵심 영역
예: 일차운동영역, 일차몸감각영역, 일차시각영역 등
감각연합영역
(Unimodal association)
**한 가지 감각 정보**를 더 깊이 분석하고 해석하는 영역
예: 시각연합영역(색·운동 인식), 청각연합영역(언어 이해)
다중연합영역
(Multimodal association)
여러 감각·운동·기억 정보를 **통합하고 종합적 판단**을 내리는 고등 인지 영역
예: 이마엽 연합영역, 마루관자연합영역, 둘레연합영역 등

 

★연합영역에서 중요한 모드 2가지

  1. 단일모드(Unimodel) : 한 가지 감각 정보(시각, 청각 등)만 처리하는 뇌 영역
  2. 다중모드(Heteromodal) : 여러 감각 정보를 통합 처리하는 뇌 영역을 의미, 복합인지(이마엽 등)

💪 2. 운동영역 (Motor Areas)

🔸 2-1. 일차운동영역 (primary motor area, Brodmann 4번)

항목 내용
위치 전두엽의 중심앞이랑 (precentral gyrus)
기능 반대쪽 몸의 수의운동(voluntary movement)을 조
세포 구성 Ⅴ층에 위치한 대형 피라미드세포인 베츠세포(Betz cells) 존재
운동 경로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를 따라 뇌줄기 → 척수로 하행하며 신체 근육 지배
특징 운동 호문쿨루스(Motor homunculus)에서 손·얼굴처럼 세밀한 움직임을 요구하는 부위가 크게 표현됨
손상 시 반대측 근육의 마비(특히 손·얼굴) 발생

🔸 2-2. 운동계획영역 (Motor Planning Areas)

영역명 브로드만 번호 기능 임상적 의의
운동앞영역
(Premotor area)
6번 외부 단서에 기반한 움직임 계획, 자세 조절 및 반복 운동 조정 손상 시, 특정 동작을 계획하거나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움 (운동실행증 가능)
이마앞영역
(Prefrontal area)
9, 10, 12번 고차적 계획, 판단력, 감정 조절, 사회적 행동 조정 손상 시, 충동 조절 저하, 성격 변화, 무계획적 행동
브로카영역
(Broca’s area)
44, 45번 말하기에 필요한 운동 명령 계획 및 문법 구성 우성반구 손상 시 운동성 실어증 (말은 못하나, 이해는 가능)

🖐 3. 감각영역 (Sensory Areas)

🔹 3-1. 일차몸감각영역 (primary somatosensory area, 3, 1, 2번)

  •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에 위치
  • 말초들신경 → 뒤섬유기둥안쪽섬유 → 시상
  • 피부감각, 고유감각의 1차 수용지
  • 감각 호문쿨루스 존재

🔹 3-2. 일차청각영역 (primary auditory area, 41, 42번)

  • 관자엽 상부(헤슐이랑)
  • 달팽이로부터 정보를 받아 아래둔덕과 안쪽무릎체를 거쳐 일차청각영역에 전달
  • 소리의 크기, 높낮이, 음색 인식

🔹 3-3. 일차시각영역 (primary visual area, 17번)

  • 후두엽 안쪽 (새발톱고랑 주변)
  • 망막에서 일어난 시각적 정보에 대한 흥분이 시상의 가쪽무릎체를 거쳐 일차시각영역에 전달
  • 색, 방향, 움직임 정보 수용

🔹 3-4. 일차평형영역(primary vestibular area)

  • 명확한 영역은 없으나 일차몸감각겉질 뒤쪽에 위치
  • 안뜰기관(전정기관)의 위치 감지 정보 수용

🔹 3-5. 일차미각영역 (primary taste(Gustatory) area, 43번)

  • 마루엽의 중심뒤이랑의 아래쪽 (대뇌섬과 연결)
  • 음식의 맛 인식

🎯 4. 감각연합영역 (Unimodal Association Areas)

영역명 브로드만 번호 기능 임상적 의의
몸감각연합영역
(Somatosensory association area)
5, 7번 중심뒤이랑 바로 뒤의 마루엽에 위치.
촉각 정보 분석, 입체감각, 형태 인식, 감각 기억과의 비교
손상 시 물체를 만져도 인지하지 못하는 촉각실인증 가능
청각연합영역
(Auditory association area / Wernicke area)
22, 39, 40번 소리의 언어적 의미 해석, 기억과 연결하여 문장 의미 파악 손상 시 수용성 실어증 (Wernicke’s aphasia): 말은 유창하나 의미 없음
시각연합영역
(Visual association area)
18~21번 색, 움직임, 방향 인식 및 시각 기억 정보와 비교 분석 손상 시 시각실인증 또는 시각 기억 장애 발생

📊 브로드만 영역 요약표

기능 브로드만 번호 위치 특징
일차운동영역 4 전두엽 중심앞이랑 반대측 수의운동 시작, 베츠세포 존재
운동앞영역 6 중심앞이랑 앞쪽 운동 계획 및 자동화된 움직임 조절
브로카영역 44, 45 전두엽 하부 (우성반구) 언어 표현 담당, 손상 시 운동성 실어증
일차몸감각영역 3, 1, 2 두정엽 중심뒤이랑 촉각, 압각, 고유감각 수용
일차시각영역 17 후두엽 새발톱고랑 주변 시각 자극의 초기 처리
시각연합영역 18~21 후두엽, 관자엽 일부 시각 정보 분석 및 기억 연결
일차청각영역 41, 42 관자엽 상부 (헤슐이랑) 소리의 강도, 음색, 음높이 수용
베르니케영역 22 관자엽 뒤쪽 (우성반구) 언어 이해 담당, 손상 시 수용성 실어증
일차미각영역 43 중심뒤이랑 하부 맛 인식 (미각 정보 수용)

브로드만 영역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A1%9C%EB%93%9C%EB%A7%8C_%EC%98%81%EC%97%AD


✅ 마무리 요약

  • 대뇌겉질은 6층 구조의 회색질로 구성되어 있고, 신경세포의 종류와 배치는 기능영역의 핵심
  • 기능영역은 주영역(운동·감각), 단일연합영역, 다중연합영역으로 구분됨
  • 브로드만 영역 번호는 임상·해부학적으로 핵심
  • 손상 시 해당 기능에 맞는 증상이 나타남 (예: 브로카 손상 → 운동성 실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