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트📖/생리학

🫀 우리 몸이 움직이는 원리, 생리학으로 쉽게 이해하기

PT Nomade 2025. 3. 24. 02:05

🫀 우리 몸이 움직이는 원리, 생리학으로 쉽게 이해하기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안녕하세요, 물리치료 전공자 PT Nomad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몸의 움직임과 기능을 생리학(Physiology)의 시선으로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근육 수축, 심장 박동, 혈액 구성처럼 당연하게 느껴지는 생명 활동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궁금하셨던 적 없으신가요?

전공자가 알려주는 쉽고 정확한 생리학 요약으로, 우리 몸속의 신비한 이야기 속으로 함께 들어가볼까요? 😊


1️⃣ 근육 수축의 원리 (Muscle Contraction)

우리 몸의 근육은 액틴(Actin)마이오신(Myosin)이라는 단백질 섬유가 서로 미끄러지듯 작용하면서 수축합니다.
이때 근절(sarcomere)이 짧아지며 근육이 움직이는 것이죠.

🧠 핵심 개념:

  • 수축 시 I대(I band), H대(H zone), Z-Z 선 간격이 줄어듭니다.
  • A대(A band)는 길이가 변하지 않아요.
  • 에너지원ATP(아데노신 삼인산, Adenosine Triphosphate)
    👉 고강도 운동 시에는 포스포크레아틴(phosphocreatine)이 함께 사용됩니다.

💡 근육 섬유 유형:

  • Type I (지근, Slow-twitch fibers): 지구력 운동에 유리
  • Type II (속근, Fast-twitch fibers): 폭발적인 힘에 유리

2️⃣ 민무늬근육 (Smooth Muscle)의 종류

민무늬근육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움직이는 근육이에요. 예: 장 운동, 혈관 수축, 홍채 조절 등

👥 두 가지 형태:

  • 다단위형(Multi-unit smooth muscle): 각각 따로 신경 지배를 받아 개별적으로 작동
    예: 홍채(iris), 입모근(arrector pili muscle)
  • 단단위형(Single-unit smooth muscle): 여러 세포가 Gap junction을 통해 연결되어 한꺼번에 수축
    예: 소화관, 자궁, 방광

3️⃣ 혈액의 구성 (Blood Composition)

피는 단순한 빨간 액체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여러 혈장 단백질(plasma proteins)이 존재하며,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합니다.

🧬 주요 성분:

  • 알부민(Albumin): 삼투압 유지, 운반체 역할 (칼슘, 지방산 등)
  • 글로불린(Globulin): 면역 작용, 항체 구성 (γ-globulin 등)
  • 피브리노겐(Fibrinogen): 혈액 응고에 필수

📌 이 단백질들은 간(liver)림프 조직(lymphoid tissue)에서 생성됩니다.


4️⃣ 심장 주기 (Cardiac Cycle)

심장은 하루 10만 번 이상 뛰며 피를 전신으로 보냅니다.
이 주기를 우리는 심장 주기(cardiac cycle)라고 부릅니다.

🕒 한 주기: 약 0.8초

  • 수축기(Systole): 심장이 피를 내보내는 단계
  • 이완기(Diastole): 심장이 피를 받는 단계
  • 심장 소리(Heart Sound):
    • S1: AV 밸브(이첨판/삼첨판) 닫힘
    • S2: 반월판(Semilunar valve) 닫힘

5️⃣ 심장 전도계 (Cardiac Conduction System)

심장은 전기 신호로 스스로 뛰는 장기입니다.
이 신호는 아래 순서로 퍼지며 심장 전체에 수축을 유도해요.

📡 전도 순서: SA node → AV node → AV bundle (His) → 좌/우 가지 → 푸르키니에 섬유(Purkinje fibers)

이 신호 덕분에 심장은 리듬감 있게 박동합니다.


6️⃣ 심근세포의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 of Cardiac Contractile Cell)

심장의 수축세포는 전기 신호에 반응해 수축합니다.
이걸 활동전위(Action Potential)라고 해요.

📈 단계별 요약:

  1. Na⁺ 유입 → 탈분극(Depolarization)
  2. Ca²⁺ 유입 → 평탄기(Plateau phase)
  3. K⁺ 유출 → 재분극(Repolarization)

Ca²⁺이 들어오면서 수축이 일어나고, K⁺이 나가면서 휴식 상태로 돌아갑니다.


7️⃣ 부정맥과 반사작용 (Arrhythmia & Reflexes)

심장이 정상 리듬에서 벗어난 상태부정맥(arrhythmia)이라고 해요.

🚨 유형별 정리:

  • 서맥(Bradycardia): 60회/분 미만
  • 빈맥(Tachycardia): 100회/분 초과
  • 세동(Fibrillation): 300~500회/분 이상으로 매우 불규칙

🌀 심장 반사작용 요약:

  • Goltz reflex: 복부 압박 → 부교감 신경 ↑ → 심박수 감소
  • Aschner reflex: 안구 압박 → 심박수 감소
  • Bainbridge reflex: 정맥 혈량 ↑ → 심박수 증가

✅ 마무리하며

이처럼 우리 몸은 정밀하고 섬세한 메커니즘으로 매 순간 움직이고 있어요.
생리학은 이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문으로,
치료, 운동, 건강 관리까지 폭넓게 활용됩니다.

앞으로도 PT 전공자의 시선으로 쉽고 유익한 생리학 이야기를 전달드릴게요.
좋아요, 구독,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 인포그래픽 요약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