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꼭 알아야 할 기본소생술(BLS) – 성인·소아·영아 차이 정리
응급 상황에서 누군가 쓰러졌다면,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을 빠르게 시행하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인, 소아, 영아의 기본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 절차를 쉽고 명확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 중요한 포인트!
생명은 연령에 상관없이 소중하지만, 연령별로 심폐소생술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 1. 기본소생술(BLS)이란?
기본소생술(BLS)은 심장이 멈추거나 호흡이 정지한 환자에게 시행하는 가장 기초적인 응급처치입니다.
이를 통해 혈액과 산소를 뇌와 심장에 공급해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2. 성인 기본소생술(CPR for Adults)
✅ 시행 순서
- 현장 안전 확인
- 반응 확인: “괜찮으세요?” 말하며 어깨 두드리기
- 119 신고 및 AED 요청(구체적 특징 지목하며 요청, 예:빨간 모자 쓰신 분 119에 신고해주세요!)
- 호흡 확인 (10초 이내)
- 가슴압박 (Chest Compression)
- 위치: 가슴 중앙
- 깊이: 5~6cm
- 속도: 100~120회/분
- 인공호흡 (가능한 경우): 30:2 비율(가슴압박 30번 후 인공호흡 2번)
- AED 도착 시 사용
- 구조대 도착 시까지 반복
📌 훈련받지 않은 일반인은 가슴압박만 시행해도 됩니다. (Hands-only CPR)
👧 3. 소아 기본소생술(CPR for Children, 1세~8세 미만)
✅ 시행 순서 및 주요 차이점
항목 | 소아 CPR |
---|---|
반응 확인 | 어깨 두드리며 확인 |
압박 위치 | 가슴 중앙(흉골 하부 1/2) |
압박 깊이 | 약 5cm 또는 흉부의 1/3 |
압박 방식 | 한 손 또는 양손 |
비율 | 30:2 (1인 구조자) / 15:2 (2인 구조자) |
신고 시점 | 목격 시 즉시 / 미목격 시 2분 CPR 후 신고 |
AED | 소아용 패드 권장 (없으면 성인용도 가능) |
🧠 차이 포인트: 압박 깊이, 신고 시점, 압박 비율
👶 4. 영아 기본소생술(CPR for Infants, 생후 1년 미만)
✅ 시행 순서 및 주요 차이점
항목 | 영아 CPR |
---|---|
반응 확인 | 발바닥 두드리기 |
압박 위치 | 흉골 아래 1/3 |
압박 깊이 | 약 4cm 또는 흉부의 1/3 |
압박 방식 | 두 손가락(1인) / 양손 엄지(2인) |
비율 | 30:2 (1인 구조자) / 15:2 (2인 구조자) |
신고 시점 | 소아와 동일 |
AED | 소아용 패드 권장 (없으면 성인용도 가능) |
📌 호흡 확인과 기도 확보도 조심스럽게 시행해야 합니다.
📊 5. 연령별 심폐소생술 차이 정리표
✅ "연령별 CPR 차이 한눈에 보기"
구분 | 성인 | 소아 | 영아 |
---|---|---|---|
반응 확인 | 어깨 두드리기 | 어깨 두드리기 | 발바닥 두드리기 |
압박 위치 | 가슴 중앙 | 흉골 하부 1/2 | 젖꼭지 선 아래 흉골 |
압박 깊이 | 5~6cm | 약 5cm or 흉부 1/3 | 약 4cm or 흉부 1/3 |
속도 | 100~120회/분 | 100~120회/분 | 100~120회/분 |
손 위치 | 두 손 | 한 손 또는 두 손 | 두 손가락 / 엄지 |
비율 | 30:2 | 30:2 or 15:2 | 30:2 or 15:2 |
신고 시점 | 즉시 | 목격 시 즉시 / 미목격 시 2분 후 | 동일 |
AED | 성인용 | 소아용 권장 | 소아용 권장 |
🧾 6. 요약 정리
- 기본소생술은 누구나 배워야 할 생명 응급처치입니다.
- 성인·소아·영아는 압박 깊이·비율·손 위치가 다릅니다.
- 훈련되지 않은 사람은 가슴압박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