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

🧠 대뇌 시리즈 ① – 대뇌의 구조와 겉질 개요

🧠 대뇌 시리즈 ① – 대뇌의 구조와 겉질 개요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1. 대뇌란 무엇인가?대뇌(Cerebrum)는 인간 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전체 뇌 무게의 약 80%를 차지합니다.좌우 1쌍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s)로 구성되며, 고등동물에서 특히 발달하여 고차원적인 사고, 감정, 감각, 운동조절의 중심입니다.🧭 2. 대뇌의 구조적 특징🧱 (1) 대뇌세로틈새 (Cerebral longitudinal fissure)좌우 대뇌반구를 나누는 깊은 틈새(fissure)이 틈은 뇌 위쪽 정중선에서 아래쪽 종말판(lamina terminalis)까지 이어집니다🧠 (2) 뇌들보 (Corpus callosum)좌우 반구를 연결하는..

🩺 림프부종 검사·평가부터 치료까지! – 림프 이야기

🩺 림프부종 검사·평가부터 치료까지! –  림프 이야기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림프부종, 어떻게 평가하나요?림프부종은 시간이 지나면서 심해질 수 있는 만성 증상이기 때문에,정확한 평가와 꾸준한 측정이 아주 중요해요!1. 둘레 측정 (Circumference Measurement)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줄자를 이용해 팔이나 다리의 여러 위치 둘레를 측정하고,붓기 있는 쪽과 없는 쪽을 비교해서 평가해요.부위팔다리측정 위치겨드랑이, 팔꿈치 위·아래 10cm, 손목, 손바닥 경계 등 총 6곳서혜부, 무릎 위·아래 10cm, 발목 등 총 5곳주의 사항같은 시간, 같은 자세, 같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측정하며, 줄자는 너무 세게 또는 느슨하게 감지 않도록 주의2. ..

🌿 림프부종 완전 정복 – 림프란? 왜 붓고, 어떻게 구분할까?

🌿 림프부종 완전 정복 – 림프란? 왜 붓고, 어떻게 구분할까?©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림프란 무엇인가요?우리 몸엔 혈액(blood)만 도는 게 아니에요!림프(lymph)라는 또 하나의 체액도 있어서 면역을 지키고 노폐물을 수거하는 일을 해요.림프의 역할설명면역 기능림프 속에 있는 백혈구(림프구)가 세균과 싸워요.노폐물 수거세포 사이에 남은 노폐물을 모아서 걸러줘요.체액 균형 유지우리 몸속 수분이 너무 많거나 적지 않게 도와줘요.🧠 림프의 순환경로림프는 아래의 길을 따라 이동해요:모세 림프관 → 림프관 → 림프절 → 림프 줄기 → 림프 덕트(가슴관) → 정맥계모세 림프관: 아주 가늘고 작지만 큰 입자까지도 통과 가능해요!림프절(lymph node): 필..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④ – 맥동 전류(Pulsed Current)의 파형과 특성 완전 분석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④ – 맥동 전류(Pulsed Current)의 파형과 특성 완전 분석©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맥동 전류란?맥동 전류(Pulsed Current)는 전류가 짧은 시간 동안 흐른 후, 다시 흐르지 않는 시간(휴지기)이 반복되는 전류를 말해요.✔ 구성 핵심전류가 흐르는 시간(Pulse duration) +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Inter-pulse interval)→ 이것이 반복되며 자극 효과 발생마치 전기자극이 일정한 박자로 "찌릿찌릿" 들어오는 느낌으로 전달되는 전류예요.✅ 1. 맥동 전류의 구성 요소 정리용어정의설명맥동 (Pulse)자극이 한 번 들어오는 전류의 단위단상 또는 이상 위상으로 구성된 하나의 자극 단위위상 (Phas..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③ – 교류 전류(AC)의 종류와 변조 방식 완전 정리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③ – 교류 전류(AC)의 종류와 변조 방식 완전 분석©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1. 교류 전류(AC)란?전류의 방향과 크기(진폭)가 일정한 주기(frequency)에 따라 반복적으로 바뀌는 전류 📌 전류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연속적이며, 일정한 리듬으로 양극 ↔ 음극 방향으로 반복📌 1초 동안의 교류 주기 수 = 주파수(Hz)로 나타냄📌 대부분 정현파(Sine Wave) 또는 그 변형된 파형을 사용함✔ 예시:정현파 교류전류: 근육자극 시 부드럽고 피로 덜함감응전류: 전통적인 저주파 자극기에서 사용됨간섭전류(IFC): 깊은 조직까지 자극 가능러시안 전류: 강력한 근수축 유도📌 교류 전류의 기본 특징 요약항목설명전류 방향양극과 음극..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② – 직류 전류(DC)의 종류와 임상 적용 완전 정리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② – 직류 전류(DC)의 종류와 임상 적용 완전 정리©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직류 전류, 왜 중요할까?직류 전류(Direct Current, DC)는 화학적 작용이 있는 전류로,특정 치료 목적(약물 흡수, 탈신경근 자극 등)에만 선택적으로 사용돼요.의용전류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DC의 종류와 특성을 구분해서 알아야 합니다!1. 직류 전류(DC)의 정의일정한 방향과 크기를 가지며 1초 이상 흐르는 전류전기·전자공학적 정의는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전류"이고,의용전류에서는 1초 이상 한 방향으로 흐르면 직류로 간주합니다.2. 직류 전류의 특징항목설명방향한쪽 방향으로만 흐름시간1초 이상 지속화학작용있음 (전극 아래 잔류 전하 발생)감각따끔..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① – 의용전류란? 전류의 종류와 임상적 특징까지 깊이 있게 정리

⚡ 전기치료학 시리즈 ① – 의용전류란? 전류의 종류와 임상적 특징까지 깊이 있게 정리©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왜 '의용전류'부터 공부해야 할까?전기치료학을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게 전류의 종류예요.왜냐하면, 자극기에서 나오는 전류의 종류에 따라자극 느낌이 다르고작용 방식도 다르고치료 목적도 달라지기 때문이죠.1. 의용전류란?치료 목적으로 인체에 전달하는 전류의용전류는 전기자극치료기에서 발생하는 출력 전류로,흐름의 방향, 형태, 작용 시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뉘어요.2. 의용전류의 분류① 직류 전류 (Direct Current, DC)정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1초 이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기타 명칭: 평류전류, 연속전류, 갈바니전류화학..

🔌 전기치료학 필수 기초 이론 정리 (자기와 자기장, 전자기유도, 전자기파 등)

🔌 전기치료학 필수 기초 이론 정리 (자기와 자기장, 전자기유도, 전자기파 등)©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1. 자기와 자기장전기치료에 자주 등장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은 뭔가 복잡하게 느껴지죠? 하지만 아주 쉽게 말하면, 전류가 흐르면 생기는 보이지 않는 자기적 영향력이에요.📌 자석의 특징 정리번호특징①자석은 금속 등을 끌어당기는 흡인력이 있어요②북극(N, +)과 남극(S, -)이 있어요③같은 극은 밀어내고, 다른 극은 끌어당겨요④자석이 닿은 물체도 자성을 띠는 자기유도 현상이 있어요⑤자기장을 형성해요⚡ 2.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직선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위에 원형 자기장이 생겨요원형코일은 중심에 강한 자기장을 만들고,원통형코일(솔레노..

🧠 기능해부학 – 해부학적 자세와 인체의 기준면 및 축에 대한 이해

🧠 기능해부학 – 해부학적 자세와 인체의 기준면 및 축에 대한 이해📌 기능해부학의 정의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은 인체의 움직임을 해부학적 구조와 생체역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다. 이는 단순한 구조의 명칭 나열이 아니라, 근골격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운동의 원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예를 들어, 상지의 굴곡 운동은 위팔두갈래근의 동심성 수축, 관절면의 구조적 관계, 그리고 신경계의 조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기능해부학은 이러한 복합적 요소들을 구조적·기능적으로 설명한다.🧍 해부학적 자세 (Anatomical Position)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를 설명하는 기준이 되는 정적 자세..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 쉽게 정리하기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 쉽게 정리하기©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들어가기 전에세포는 외부 환경과 끊임없이 물질을 교환합니다. 이때 세포막(Cell membrane)을 통해 일어나는 물질 수송(Transport)은 세포가 살아가기 위한 핵심 과정이에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물질 수송의 기본 원리를 쉽게 정리해볼게요.📌 중요 키워드: 수동 수송(Passive Transport), 능동 수송(Active Transport), 소듐-포타슘 펌프, 대량 수송 등1. 수동 수송 (Passive Transport) 🌀수동 수송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질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방식입니다.구분설명예시확산(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