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뇌 시리즈 ① – 대뇌의 구조와 겉질 개요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 1. 대뇌란 무엇인가?
대뇌(Cerebrum)는 인간 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전체 뇌 무게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좌우 1쌍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s)로 구성되며, 고등동물에서 특히 발달하여 고차원적인 사고, 감정, 감각, 운동조절의 중심입니다.
🧭 2. 대뇌의 구조적 특징
🧱 (1) 대뇌세로틈새 (Cerebral longitudinal fissure)
- 좌우 대뇌반구를 나누는 깊은 틈새(fissure)
- 이 틈은 뇌 위쪽 정중선에서 아래쪽 종말판(lamina terminalis)까지 이어집니다
🧠 (2) 뇌들보 (Corpus callosum)
- 좌우 반구를 연결하는 맞교차섬유(commissural fiber)의 대표
- 약 1억 개 이상의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감각·운동 정보의 양측 공유를 담당
- 위쪽은 띠이랑(cingulate gyrus)이 덮고 있으며, 아래에는 가쪽뇌실(lateral ventricle)과 시상이 위치
🌀 3. 표면 구조 – 틈새, 고랑, 이랑
구분 | 설명 |
---|---|
틈새 (Fissure) | 뇌 표면에서 깊게 들어간 홈으로, 대뇌반구를 구분하거나 주요 구조를 나누는 경계선을 형성함. 예: 대뇌세로틈새 |
고랑 (Sulcus) | 얕게 들어간 홈으로, 이랑 사이의 경계를 이룸. 예: 중심고랑, 가쪽고랑 |
이랑 (Gyrus) | 틈새와 고랑 사이에서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위로, 신경세포가 밀집된 회색질이 위치하며 대뇌겉질을 구성함 |
이러한 구조는 대뇌의 표면적을 넓혀 140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합니다.
가쪽고랑 : 이마엽과 관자엽 사이 고랑
중심고랑이 기준이 되며 뇌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 중심 앞이랑 : 운동영역
- 중심 뒤이랑 : 모든 감각의 도착점
🌐 4. 대뇌반구 – 대뇌반구의 가쪽면
대뇌는 틈새와 고랑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엽(lobe)으로 나뉘며, 각 엽은 고유한 기능을 가집니다.
🧠 (1) 전두엽(=이마엽, Frontal lobe)
- 이마뼈 아래, 눈 위쪽, 중심고랑(central sulcus) 앞쪽 위치
- 대뇌 표면의 약 36% 차지
- 고차원적 인지, 운동계획 및 조절, 언어 생산(Broca’s area)
- 손상 시 : 판단력 저하, 충동성, 무감정, 감정적 둔감, 언어 표현 장애(운동실어증)
🧠 (2) 두정엽(=마루엽, Parietal lobe)
- 중심고랑의 뒤쪽, 마루뼈 아래
- 일반감각(촉각, 통각 등) 및 미각, 일부 시각 정보 통합
- 감각 정보 해석, 입체감각 판단, 공간 인식에 필수
- 손상 시 : 감각상실, 행위상실증(apraxia), 베르니케 실어증(감각실어증)
🧠 (3) 측두엽(=관자엽, Temporal lobe)
- 관자뼈 깊숙한 곳, 가쪽고랑 아래 위치(마루엽과 분리)
- 위·중간·아래 관자이랑(superior/middle/inferior temporal gyrus) 포함
- 청각, 후각, 기억, 학습, 감정 조절 담당
- 손상 시 : 기억력 저하, 감정폭발, 환청, 후각장애
🧠 (4) 후두엽(=뒤통수엽, Occipital lobe)
- 뒤통수뼈 아래
- 주요 구조: 가쪽뒤통수이랑(lateral occipital gyrus)
- 일차시각겉질(primary visual cortex) 포함
- 사물의 위치, 형태, 움직임 등의 시각 정보 분석
- 손상 시: 시각 실인증(눈은 멀쩡하나 사물 인식 불가)
🧠 (5) 대뇌섬 (Insula)
- 대뇌 가쪽오목 안쪽 깊은 곳
- 내장감각, 미각, 공감, 자기 인식, 음성언어 이해, 거짓과 진실의 파악 과 관련
- 명상·정서 조절에 관여 (뇌파 안정화와도 관련 있음)
🧠 5. 대뇌반구의 안쪽면(Medial surface of cerebrum)
대뇌반구를 좌우로 가르는 틈새(fissure)를 따라 절단했을 때, 드러나는 내측 구조물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핵심 구조
구조물 | 설명 |
---|---|
뇌들보 (Corpus callosum) | 좌우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가장 큰 맞교차섬유 다발. 아래에 뇌들보고랑이 따라 주행함 |
띠고랑 (Cingulate sulcus) | 뇌들보의 위쪽을 따라 앞뒤로 길게 주행하는 고랑 |
띠이랑 (Cingulate gyrus) | 띠고랑과 뇌들보고랑 사이에 위치. 감정·동기와 관련된 둘레계통의 일부 |
새발톱고랑 (Calcarine sulcus) | 후두엽 내측에 위치한 깊은 고랑. 일차시각겉질과 관련 |
곁고랑 (Collateral sulcus) | 쐐기이랑과 해마이랑을 구분하는 내측 깊은 고랑 |
쐐기이랑 (Lingual gyrus) | 새발톱고랑 아래 위치. 시각 정보의 분석에 관여 |
해마이랑 (Hippocampal gyrus) | 곁고랑과 해마고랑 사이에 위치. 해마와 연결되어 기억 형성에 중요 |
✅ 안쪽면 요약
- 기억, 감정, 시각 처리 관련 구조 밀집
- 특히 둘레계통(감정)과 시각피질(후두엽)이 주로 포함됨
- 해마(hippocampus)는 기억의 핵심이며, 해마이랑 ↔ 띠이랑 ↔ 쐐기이랑이 서로 연결됨
🧬 6. 대뇌반구의 아랫면 (Inferior surface of cerebrum)
아랫면은 뇌를 밑에서 본 구조로, 대뇌 뿐 아니라 뇌줄기(다리뇌, 숨뇌) 및 시상하부 등도 함께 관찰됩니다.
📌 핵심 구조
구조물 | 설명 |
---|---|
뇌들보 (Corpus callosum) | 좌우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가장 큰 맞교차섬유 다발. 아래에 뇌들보고랑이 따라 주행함 |
띠고랑 (Cingulate sulcus) | 뇌들보의 위쪽을 따라 앞뒤로 길게 주행하는 고랑 |
띠이랑 (Cingulate gyrus) | 띠고랑과 뇌들보고랑 사이에 위치. 감정·동기와 관련된 둘레계통의 일부 |
새발톱고랑 (Calcarine sulcus) | 후두엽 내측에 위치한 깊은 고랑. 일차시각겉질과 관련 |
곁고랑 (Collateral sulcus) | 쐐기이랑과 해마이랑을 구분하는 내측 깊은 고랑 |
쐐기이랑 (Lingual gyrus) | 새발톱고랑 아래 위치. 시각 정보의 분석에 관여 |
해마이랑 (Hippocampal gyrus) | 곁고랑과 해마고랑 사이에 위치. 해마와 연결되어 기억 형성에 중요 |
✅ 아랫면 요약
- 주로 운동계 전달통로, 생명유지, 시각정보 통합과 관련된 구조들
- 숨뇌와 다리뇌는 생명 기능 조절의 핵심이며, 피라미드는 겉질에서 내려온 운동신호가 교차하는 지점
'전공노트📖 > 신경해부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뇌 시리즈 ② – 대뇌겉질의 기능영역: 운동 · 감각 중심 정리 (0) | 2025.04.14 |
---|---|
🧠 신경세포는 어떻게 이야기할까? | 아주 쉽게 정리! (0) | 2025.03.25 |
🧠 신경계는 어떻게 생겨날까? | 신경해부생리학 아주 쉽게 정리! (1) | 2025.03.24 |
신경해부학의 시작 – 신경계는 어떻게 정보를 전달할까? (1)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