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트📖/생리학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 쉽게 정리하기

PT Nomade 2025. 4. 1. 19:54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 쉽게 정리하기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 들어가기 전에

세포는 외부 환경과 끊임없이 물질을 교환합니다. 이때 세포막(Cell membrane)을 통해 일어나는 물질 수송(Transport)은 세포가 살아가기 위한 핵심 과정이에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물질 수송의 기본 원리를 쉽게 정리해볼게요.

📌 중요 키워드: 수동 수송(Passive Transport), 능동 수송(Active Transport), 소듐-포타슘 펌프, 대량 수송 등


1. 수동 수송 (Passive Transport) 🌀

수동 수송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질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구분 설명 예시
확산(Diffusion) 물질이 세포막을 직접 통과하거나 통로를 통해 이동 산소(O₂), 이산화탄소(CO₂)
촉진 확산(Facilitated Diffusion) 캐리어 단백질을 이용하여 물질이 이동 포도당, 아미노산 등

✅ 에너지(ATP)는 전혀 필요하지 않아요!


2. 능동 수송 (Active Transport) ⚡

능동 수송은 ATP를 사용하는 수송 방식으로, 물질이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역행할 때 발생합니다.

2-1. 1차 능동 수송 (Primary Active Transport)

에너지를 직접 사용하여 물질을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 대표 예시:
소듐-포타슘 펌프(Sodium-Potassium Pump)

  • 소듐(Na⁺) 3개 → 세포 밖으로
  • 포타슘(K⁺) 2개 → 세포 안으로
  • ATP 1분자 소모

소듐-포타슘 펌프의 작동 원리를 쉽게 이해하려면 세포 안팎의 이온 농도를 먼저 알아야 해요.

  • 세포 내(Na⁺ 낮음 / K⁺ 높음)
  • 세포 외(Na⁺ 높음 / K⁺ 낮음)

즉, 소듐(Na⁺)은 세포 바깥에 많고 안쪽에는 적으며, 포타슘(K⁺)은 반대로 세포 안에 많고 바깥에는 적습니다.
이러한 이온 농도 차이(농도 구배, concentration gradient)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세포는 ATP 에너지를 사용해서 이온을 역행 수송하게 됩니다.

➡ 이때 소듐 3개는 세포 밖으로, 포타슘 2개는 세포 안으로 이동하며 ATP 1분자가 소모됩니다.

 

2-2. 2차 능동 수송 (Secondary Active Transport)

ATP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소듐(Na⁺) 등의 이동 에너지를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구분 설명 예시
공동 운반
(Symport, Co-transport)
두 물질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 소듐 + 포도당
소듐 + 염소
역방향 운반
(Antiport, Counter-transport)
두 물질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 소듐 IN / 칼슘 OUT
소듐 IN / 수소 OUT

➡ 실제 에너지는 소듐을 다시 바깥으로 내보낼 때 ATP로 사용됩니다. 이 점이 1차 능동 수송과의 차이예요.


3. 대량 수송 (Bulk Transport) 📦

대량 수송은 세포가 거대 분자여러 물질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소포(Vesicle)**를 통해 수행됩니다.

🚪 엔도사이토시스 (Endocytosis, 세포 내 유입)

세포 외부의 물질이 세포막을 통해 안으로 들어오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유형 영어 용어 한글 명칭 설명 예시
큰 입자 섭취 Phagocytosis 식세포 작용 세균, 바이러스 등 큰 입자를 세포가 삼키는 과정 백혈구의 병원균 제거
작은 입자/액체 섭취 Pinocytosis 음세포 작용 액체나 콜로이드 같은 작은 입자를 세포가 흡수하는 과정 세포 외액 섭취

✅ 둘 다 소포(Vesicle)를 만들어 내부로 들여보냅니다.

💨 엑소사이토시스 (Exocytosis, 세포 외 유출)

세포 내에서 만들어진 물질(호르몬, 효소 등)을 소포에 담아 세포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주로 분비 세포에서 활발하게 나타납니다.

🔁 트랜스사이토시스 (Transcytosis)

엔도사이토시스와 엑소사이토시스가 연속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주로 혈관 내피세포에서 물질을 한쪽에서 받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됩니다.

 

📌 핵심 요약

구분 방식 예시 소포 사용 여부
엔도사이토시스
(Endocytosis)
세포 외부 → 내부 식세포 작용(Phagocytosis),
음세포 작용(Pinocytosis)
엑소사이토시스
(Exocytosis)
세포 내부 → 외부 호르몬 분비, 소화 효소 방출
트랜스사이토시스
(Transcytosis)
내부 수송 (Endo + Exo 연속) 혈관 내피세포에서의 물질 이동

4. 상피조직 (Epithelial Tissue) 🧱

상피조직은 세포를 보호하고 흡수 및 분비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조직입니다.

형태 영문 명칭 설명 주요 위치
편평상피 Squamous epithelium 얇고 납작한 형태로 물질 교환에 유리함 피부, 폐포, 모세혈관 내벽
입방상피 Cuboidal epithelium 정육면체 모양, 분비 및 흡수에 관여 갑상샘, 신장 세뇨관
원주상피 Columnar epithelium 기둥 형태로, 흡수 및 분비에 효과적 소장, 위장관
거짓중층원주상피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단층이지만 여러 층처럼 보임 기관지, 호흡기 상피
이행상피 Transitional epithelium 형태가 변화하며 팽창에 유리 방광, 요관

📍 단층 / 중층 여부에 따라 역할과 위치가 달라집니다.


📝 요약 정리

구분 수동 수송
(Passive Transport)
능동 수송
(Active Transport)
대량 수송
(Bulk Transport)
에너지 사용 ❌ 사용하지 않음 ✅ ATP 사용 ✅ ATP 사용
이동 방향 고농도 → 저농도 저농도 → 고농도 세포막을 통한 대량 이동
주요 방식 확산, 촉진 확산 1차/2차 능동 수송 엔도사이토시스, 엑소사이토시스
단백질 관여 채널/캐리어 단백질 캐리어 단백질 + 펌프 소포(vesicle) 이용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