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리학 | 항상성과 피드백부터 세포 소기관까지 한 번에 정리!
✅ 글 머리말
생리학을 처음 접하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항상성(Homeostasis)’이에요.
하지만 이 개념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우리 몸이 살아 있기 위해 매 순간 작동하는 생존의 메커니즘이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항상성의 조절 원리부터 세포와 세포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까지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볼게요!
📌 1. 항상성이란?
🌡️ 항상성(Homeostasis)은?
우리 몸이 내부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능력
= 체온, 혈당, 혈압 등 다양한 생리적 균형 유지
⚖️ 예시: 체온 조절은 시소처럼 균형 잡기
- 체온이 올라가면? → 땀샘이 작동 → 땀 증발 → 체온 낮춤
- 체온이 내려가면? → 근육 수축(떨림) → 열 생성 → 체온 상승
💡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몸의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돼요!
📌 2. 피드백 메커니즘: 음성과 양성 피드백
🔄 음성 피드백 (Negative Feedback)
변화가 생기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해서 균형 회복
예시: 체온 조절, 혈당 조절, 혈압 조절 등
➕ 양성 피드백 (Positive Feedback)
변화가 생기면 그 방향을 더 강화함
예시: 혈소판 응고 반응
- 상처 → 혈소판이 모여듦 → 화학물질 분비 → 더 많은 혈소판 유입
- 결국 상처 부위에 ‘마개’가 형성됨
🧠 추가 개념: 피드 포워드 (Feedforward)
예상되는 변화에 미리 반응하는 기전
예시: 밥 먹기 전에 인슐린이 미리 분비되는 현상
📌 3. 세포란 무엇일까?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
기능적으로 독립된 ‘작은 생명체’와 같아요
💧 세포 내외 수분 구분
구분 | 설명 |
---|---|
ICF (Intracellular Fluid) | 세포 안에 있는 수분 (전체 체액의 약 2/3) |
ECF (Extracellular Fluid) | 세포 밖에 있는 수분 (전체 체액의 약 1/3) |
ECF 구성 | 간질액(80%), 혈장(20%) |
주요 이온 분포 차이
구역 | 많이 존재하는 이온 |
---|---|
ICF (세포내액) | K⁺, Mg²⁺, HPO₄²⁻ |
ECF (세포외액) | Na⁺, Ca²⁺, Cl⁻ |
📌 4. 세포 소기관 간단 정리
소기관 | 기능 |
---|---|
핵 (Nucleus) | 유전 정보 저장, RNA 합성 |
리보솜 (Ribosome) | 단백질 합성 (mRNA → 단백질) |
거친 소포체 (Rough ER) | 단백질 및 펩타이드 호르몬 합성 |
매끈 소포체 (Smooth ER) | 지질 합성, 칼슘 저장,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 |
골지체 (Golgi Apparatus) | 단백질 및 지질의 포장과 분비 |
라이소좀 (Lysosome) | 세포 내 노폐물 분해 (가수분해 효소 포함) |
퍼옥시좀 (Peroxisome) | 과산화수소 분해 (카탈레이즈 효소 작용) |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 ATP 생성 (세포 호흡, TCA cycle) |
세포골격 (Cytoskeleton) | 세포 형태 유지, 물질 이동에 관여 |
📌 5. 세포골격: 세포의 뼈대
구조 | 주요 구성 | 기능 |
---|---|---|
미세섬유 (Microfilament) | 액틴 (Actin) | 세포 운동 및 수축 작용 (예: 근육 수축) |
중간섬유 (Intermediate Filament) | 다양한 단백질 | 세포 구조 유지 및 강도 부여 |
미세소관 (Microtubule) | 튜불린 (Tubulin) | 세포 내 수송, 세포 분열, 섬모/편모 형성 |
📝 오늘의 요약
✔️ 항상성은 몸의 균형을 지키는 자동 조절 시스템
✔️ 음성 피드백: 변화 → 반대로 작용
✔️ 양성 피드백: 변화 → 더 강화
✔️ 세포는 물, 이온, 유전정보, 소기관으로 꽉 찬 살아 있는 ‘작은 공장’
✔️ 세포골격은 세포 안에 숨어 있는 미니 뼈대!
© 2025. All rights reserved. | PT Nomad
'전공노트📖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 쉽게 정리하기 (1) | 2025.04.01 |
---|---|
🧠 생리학 | 세포막의 구조와 물질 수송, 삼투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3.29 |
🧠 생리학의 첫걸음! 항상성과 체액, 이렇게 쉬워도 되나요? (0) | 2025.03.28 |
🫀 우리 몸이 움직이는 원리, 생리학으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5.03.24 |